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거주목적으로 허가 받아 임대하면 이행강제금 낸다
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땅을 구입한 뒤 이용목적대로 법에서 정한 이용의무기간 동안 땅을 사용하지 않으면 이행강제금을 물어야하고 강제처분될 수도 있다.
그런데 이용목적을 거주용 주택용지로 땅을 구입한 뒤 이용의무기간 내에 착공만 하면 되는 걸까, 완공해야하나, 완공 후 살아야 하나. 정답은 완공 후 사는 것이다.
거주용 주택용지 구입의 경우 3년간 이용목적대로 이용해야 한다. 토지거래허가구역 안에서 토지거래계약에 대해 허가를 받도록 한 것은 실수요자에게만 토지취득을 허가함으로써 토지의 투기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고 토지이용의무 기간을 토지의 취득시부터 일정기간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이용의무는 건축공사의 완료가 아니라 일정기간까지 계속적 이용을 말한다.
따라서 거주용으로 빈 땅을 허가 받아 산다면 3년 내에 집을 지어서 살아야 하는 것이다. 3년 안에 집만 지어서는 않되는 것이다. 이를 위반할 경우 부과되는 이행강제금은 토지 취득가액의 10%다. 이행강제금은 자치단체에서 이용의무기간 동안 매년 한차례씩 이용목적대로 이용할 때까지 부과된다.
또한, 지은 집에 자신이 살지 않고 임대를 주는 것도 토지이용목적 위반이다.
'부동산관련지식 > 부동산관련 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언양부동산 4/1부동산대책의 생애최초 취득세면제 및 양도세면제 기준 (0) | 2013.04.25 |
---|---|
1세대 1주택 비과세요건 (0) | 2013.03.30 |
집 살때 내는 세금? (0) | 2007.02.22 |
상가, 오피스텔, 콘도 관련 세금 (0) | 2007.02.22 |
토지관련 세금을 망라했습니다. (0) | 2007.02.22 |